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철학자·정치가이자 시인·작가로서, 유교주자학의 대가이자 당색으로는 서인, 분당 후에는 노론의 영수였다.
본관은 은진(恩津)이고, 자는 영보(英甫), 아명은 성뢰(聖賚), 성래(聖來), 호는 우암(尤庵)·우재(尤齋)·교산노부(橋山老夫)·남간노수(
별칭은 대로(大老), 송자(宋子),
허목(許穆, 1595년[1]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자(字)는 문보(文甫)·문부(文父)·화보(和甫)[2], 호(號)는 미수(眉叟), 태령노인(台領老人),대령노인(臺領老人), 석호장인(石戶丈人)이다. 별호는 미로(眉老), 희화(熙和), 공암지세(孔巖之世), 승명(承明)이고 별호로는 동교노인(東膠老人), 구주노인(九疇老人), 동서노인(東序老人), 이서포옹(二書圃翁),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윤선도(尹善道, 1587년 6월 22일 ~ 1671년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다.
남인 중진 문신이자 허목, 윤휴와 함께 예송 논쟁 당시 남인의 주요 논객이자 예송 논쟁 당시 선봉장이었다.
1차 예송논쟁 때 송시열이 체이부정설을 주장하자 이에 반발, 효종의 종통을 부인했다는 과격한 상소를 올렸다가 서인의 맹공을 받고 자신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
한옥션/문화예술 종합경매
송시열, 허목, 윤선도, 박문수 등 명신들의 疏와 대일본 관계문, 후대 각종 주요 소, 글월 등을 합본한 <疏草>. 경매번호, 20-030, 시작가, 100,000 원 ...
시남집(市南集) - 유교넷
권9 「논조경잉사직소(論趙絅仍辭職疏)」, 권10 「옥당론윤선도권시소차(玉堂論尹 ... 을 지지하고 윤휴(尹 )·허목(許穆) 등의 3년설을 배척하였으며, 윤선도가 송시열을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 현종의 딜레마-서자(庶子)란 첩자인가 중자 ...
2012. 11. 19. - 즉 허목이 서자를 첩자라 본 반면 송준길과 송시열을 위시한 서인들은 이를 ...으로 전개되었던 복제예송은 윤선도의 상소가 올라온 뒤부터는 완전히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전자족보
2007. 1. 6. - 그러나 그 변화를 거부하고, 사대부와 당의 이익을 대변한 송시열과 이에 맞선 정적(政敵) 윤휴, 허목, 윤선도, 이경석, 김육. 이들의 주장은 또한 무엇 ...
고산 윤선도
2008. 7. 11. - 임금을 낮추고 종통을 둘이게' 했다는 윤선도의 주장은 송시열 계열과 대립하던 미수 허목 등의 중심논리를 제공한 선구적 역할을 했던 것이다.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 대순회보 25호 전경속의 인물
송시열(1607년 ~ 1689년)은 17세기 조선조 주자학의 대가로서 우리에게 너무나 잘 .... 이 반론은 미수(허목)를 위주로 하여 윤휴, 윤선도 등이 주동한 것이었다.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일반주기 : 송시열, 윤선도, 정약용... 조선을 이끈 .... 과거시험에서는 상세하게 쓰라 _ 윤선도 글을 먼저 쓴 뒤 책을 읽는다 _ 이상수 질문이 모든 공부의 기초다 _ 허목제1차 예송논쟁 시 복제에 관한 윤선도의 상소문 - 위키문헌, 우리 모두 ...
ko.wikisource.org/.../제1차_2012. 9. 6. - 아, 허목이 말한 것은 예의 정대한 원리를 논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실은 ... 성경(聖經)에 의하여 바로잡게 하셔야 했는데, 그것을 다시 송시열에게 ...예송논쟁_시_복제에_관한_윤선도의_상소...
덧글